- Today
- Total
목록턴키 인테리어 (6)
나 돌보기

중문까지 달아서 턴키에서 잡아둔 거의 모든 공식적인 공사 일정이 끝났다. 중문은 투명한 슬라이딩원도어로 하고싶었는데 현관크기를 줄이는 바람에, 이게 가능한가 엄청 고민하다가 안되면 동선에 좀 방핻가 되더라도 투명한 스윙도어라도 달아겠다 하는 생각을 했는데 다행히 남은 현관의 크기도 그렇게 좁은게 아니라 가능했다. 다만 신발장 쪽의 공간은 가벽을 더 세워서 공간을 만들어야 해서 벽을 쌓아서 문을 가릴 공간을 만들었다. 문사이는 90cm 정도 만드는데 문을 완전히 다 가리는 벽이 아니라도 조금 더 개방감 있는 크기를 원해서 목공전에 크기 미리 논의하고 결정했었다. 그림과 함께 크기와 구성에 대해 턴키 사장님, 실장님과 목공 반장님까지 같이 얘기했는데 내가 원하는건 이렇게라고 해서 제법 괜찮게 나왔다. 턴키업..

도배 중. 도배할때는 공사에 좀 신경을 더 못썼던 것 같기도 해서 조금 아쉽긴 한데, 결과물만 봤을때는 대충봐서는 정말 예쁘게 됐고 꼼꼼하게 보면 뭔가 조금 부족한 부분들이 보여서 AS도 요청하는 등 이슈가 좀.... 있었다. 수정 요청했지만 안오고, 추가로 언제 되냐고 문의했는데도 답이 계속 늦고 공사 끝나고도 이걸로 좀 욕하려다가 그냥 포기하고 대충 안보이게 마감만 좀 해달라고 해서 처리....하는데 이렇게 해서 마무리 짓는데 거의 두달 걸림. 중간에 대응 없고 밀리는게 너무 화가 나서 사이에 껴있던 집닥에도 연락하고 난리를 쳤었다. 이래서 다들 잔금은 AS까지 다 끝나고 주라는거구나 하는 교훈을 얻었다. 잔금을 공사 끝나고 계약서에 적힌 잔금일에 다 치렀었는데 AS가 안끝나서 일부 금액이라도 남겨서..

타일작업이 끝난 뒤에는 필름! 사실 타일과 필름은 겹치는게 없어서 그냥 같이 진행해도 되긴 하는데 현관 오갈때는 조금 불편할 수 있을 듯 싶다. 공사 일정으로는 타일공정이 끝난 뒤 필름을 시작했다. 아래는 필름 둘째날 밑작업 끝난 뒤. 첫째날은 문틀과 천장의 단내림한 부분의 필름할 곳 밑작업이었는데 눈으로 보기에 큰 차이가 없어서 오늘 공정 안한건가? 하는 생각하고 물어봤는데 밑작업한거라고 하더라. 둘째날은 리폼할 옷장과 신발장 표면, 문, 현관문 등에 밑잡업을 해두어서 그래도 뭔가 진행되고있긴 하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필름 마지막날 붙이는 작업이 끝난 뒤, 필름을 붙인 곳은 새하얗게 되었다. 일부 샷시는 창소 변경 안하고 기존의 창을 그대로 써서 이런 건 필름만 붙이기로 했었다. 이렇게만 해도 새 것..

목공 다음 일정은 바로 타일이었다. 목공 첫날 , 목공 어디어디 어떻게 해야하고 뭘 더 해주세요랑 조명 위치 등등을 현장에서 잡고 바로 턴키 실장님과 함께 타일을 결정하러 갔다. 아직도 조금 의문인건 이거 조금 일찍 결정하는게 맞지 않나 싶긴 하다는 점...? 공사 직전에 무슨 타일 할지 결정하니까 (무려 타일 시공하기 3일전에 타일 보러감) 공사상황 보고 내가 생각했던 분위기가 나올지를 현장 상황을 참고해서 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가 하면, 예쁜 타일이 그때 갔을때 없으면 못고른다는 단점이 있다. 코로나 때문에 물건도 빨리 안들어 온다고 하는데 이런걸 고려하면 조금 더 일찍 골랄야하지 않나 싶기도 하고..... 이런걸 미리 주문해놓지 못할만큼 업체의 자금 사정이 안좋은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되고 말..

공사 가장 첫날 시공한건 철거가 아닌 샷시였다. 같은 업체를 통해서 모든 과정을 처리했으면 조금 더 스무스했을지도 모르겠지만 인테리어 업체 따로 계약하고 샷시 따로, 시스템에어컨까지 따로 계약했더니 일정 조율을 내가 해야하는 단점이 생겼다. 게다가 첫 공사이기도 해서 어떻게 진행되나 싶어 연차를 내고 하루종일 작업하는 걸 옆에서 지켜봤다. 큰 돈을 쓰는 입장에서 최대한 잘 되었으면 하는 생각에 잘 모르지만 옆에서 구경하면서 모르는 부분을 물어보기도 했더니 귀찮았을텐데 잘 알려주셔서 고맙기도 했다. 샷시 시공은 하루만에 다 끝났다. 오전 중에 기존의 창호를 다 철거! 철거가 제일 시끄러웠다.... 창틀을 벽에 잘 붙게 발라놓은 폼들이 있어서 창틀도 깨고 폼도 깨서 창틀을 다 제거했다. 기존 창호를 제거하는..

인테리어를 할 거라면 미리 꼭 해야하는 건, 나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다. 가장 먼저 내가 어떤 집을 원하는지를 알아야하고 어떤 스타일을 선호하는지를 안다면 어떤 식으로 인테리어를 할 지도 그려볼 수도 있다. 원하는 디자인을 찾고나서는 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을 파악하고나면 어디까지를 더 알아서 해야하는지,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알게되는건 여러 업체에 상담을 받다보면 깨닫게 된다...) 디자인까지 업체에서 해주는 곳을 고르겠다면 최소 6개월 전에는 내 취향대로 해줄 것 같은 업체에 컨택을 해서 미리 예약을 잡아둬야 한다. (인테리어가 가능한 시기도 미리 정해두어야 계약이 편한데, 요즈음 인테리어가 너무 호황이라 인기있는 곳은 6개월전에도 미리 예약을 시도하려고 해도 안되는 곳들이..